[서평]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
길벗 <20차 개발자 리뷰어>로 선정되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쿠버네티스를 편하게 실습하며 익힐 수 있는 책!
이 책은 처음부터 간략하게 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면서 시작합니다. 네트워크나 볼륨 부분에 도표도 많습니다. 여러 부분에서 초보자에 대한 많은 배려가 느껴집니다.
책의 장점
직관적인 설명
번역서가 아니기도 하고 책의 설명이 전체적으로 직관적이고 자연스럽게 흘러가서 쉽게 실습을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
풍부한 그림(도표)
책에서는 어렵거나 복잡해할 수 있는 개념(통신, volume, deployment, ...)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과 함께 설명해 줍니다.
저는 쿠버네티스 문서를 읽으면서 매니페스트 파일을 몇 번 만들어서 배포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때 헷갈렸던 것이 하다 보니 node ip, container ip, cluster ip, service ip, port, targetPort, nodePort, 등이 섞여서 혼란스러웠습니다. 제가 가진 도커 지식과 다른 글을 보면서 그림을 그리면서 차근차근 이해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도 당시에 워낙 각각의 노드나 호스트에 접속된 터미널이 띄워져 있어서 네트워크 명령어를 치고 확인할 때도 헷갈려서 고생한 기억이 있네요.
하지만 저자는 이런 네트워크나 헷갈릴만한 부분이 나올 때마다 그림을 그려줍니다!
부연 설명하는 부분은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데 그런 부분도 도표가 있었습니다.
직접 실습하면서 이 그림에 제 IP랑 포트를 적으면서 진짜 이렇게 통신이 되는지 확인해 보면서 저 스스로도 더 명확하게 실습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리눅스 네트워크를 확인해 봤습니다
쿠버네티스의 서비스가 netfilter를 이용한다길래 궁금해서 직접 확인해보기도 하고 책의 설명을 기반으로 iptable이 어떻게 바뀌는지 예측하고 노드에 직접 들어가서 확인하면서 재밌게 실습했습니다.ㅎㅎ
쿠버네티스의 네트워크가 내가 알고 있는 리눅스 네트워크의 개념으로 확인이 되니 모호하고 마술 같이만 느껴졌던 쿠버네티스가 어렵지 않게 느껴졌습니다. 미지의 영역에서 어느 정도 제가 예측할 수 있는 영역으로 좁혀진 느낌입니다..!
문서로 필요한 부분만 보다가 놓친 부분을 채웠습니다
RBAC와 쿠버네티스의 보안에 대한 내용을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로 볼 때는 어렵게 느껴졌는데 책을 따라 하며 직접 Postman으로 요청을 넣어보니 이해가 잘됐습니다.
이 책을 읽으니 이후로 쿠버네티스 문서 내용을 볼 때도 더 많은 것이 보이네요.
Silicon Mac 사용자라면 k3s로 실습해 보세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이 처음 해보면 (2번째도 3번째도...) 한방에 삽질 없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여러 포트도 열려있어야 있어야 하고 스왑 메모리도 꺼야 하고 CNI도 설치해야 하고 그러다가도 막힐 수 있는 것이 쿠버네티스 구축인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아무래도 초보 실습자를 위한 내용이다 보니 실습 환경 구축하는 것도 자세하게 잘 안내되어 있습니다.
저는 Mac 유저라서 Cloud를 사용하지 않는 한 그대로 따라 하기 어려워서 간단하게 minikube로 실습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minikube도 컨테이너 기반으로 돌아가는 싱글 노드 클러스터이다 보니 많은 것이 불편했습니다.
일단 제 macbook으로 확인하려면 항상 포트 포워딩을 해줘야 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포트 포워딩의 포트 포워딩을 할 때도 생기고.. (헷갈리고 귀찮아요!!) 오히려 불편했습니다.
그리고 single node이기 때문에 나중에 Deployment 같은 것은 실습하는데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multipass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우분투를 3개 띄우고 k3s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을 해서 실습을 했는데 정말 편하게 실습할 수 있었습니다.
책의 있는 내용은 다 원활하게 따라 하고 실습할 수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많은 사람들이 구축법을 올려뒀으니 참고해 보세요. 예를 들어서, (링크)
이때, 저는 master node도 1 cpu, 1Gb memory로 했는데 나중에 책 뒤쪽에서 그라파나랑 프로메테우스 내용을 실습할 때 뻗었습니다. master node는 2 코어랑 2Gb 이상으로 메모리도 충분히 할당하세요...!
추천하는 대상
쿠버네티스에 입문을 하고 싶으면서도 아래와 같은 분들께 추천합니다 ㅎㅎ!
- Docker나 비슷한 환경의 경험이 있는 분!
- 네트워크에 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 분!
-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가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서평] 관찰 가능성 엔지니어링
[서평] 관찰 가능성 엔지니어링
2023.08.27 -
[서평] 백엔드 개발을 위한 핸즈온 장고
[서평] 백엔드 개발을 위한 핸즈온 장고
2023.06.25 -
[서평] 이것이 리눅스다 with Rocky Linux 9 (3판)
[서평] 이것이 리눅스다 with Rocky Linux 9 (3판)
2023.03.26 -
[서평] 러닝 타입스크립트 - 조시 골드버그
[서평] 러닝 타입스크립트 - 조시 골드버그
202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