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Infra/Apple
Mac Sequoia - multipass timed out waiting for response 해결법
Mac Sequoia - multipass timed out waiting for response 해결법
2024.10.14Mac Sequoia부터 오류가 나기 시작한 multipass 고치기최신 MacOS 15 Sequoia 사용자 주목!최신 Mac OS 15 Sequoia를 사용하고 있으면 현재(24년 10월 기준) 최신 릴리즈인 1.14.0 버전은 문제가 있어서 사용하지 못합니다.multipass lauch를 해도 "timed out waiting for response"라고 뜨며 실패할 것이고 예전에 실행한 인스턴스의 State도 전부 unknown으로 뜰 겁니다.원인원래는 인스턴스들의 IP를 가져오기 위해서 /var/db/dhcpd_leases 파일을 읽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저는 실제로 열어보니 잘 열렸는데 예전에 생성한 인스턴스 정보랑 최근에 생성되며 오류난 인스턴스 정보의 길이부터가 차이나는 것을 확..
Mac 전용 CLI 명령어
Mac 전용 CLI 명령어
2022.07.17최근 Mac용 명령어와 스크립트를 모아놓은 흥미로운 저장소(하단의 출처에 남겼다)를 발견했다. 거기서 발견한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명령어 몇 개를 남겨본다ㅎㅎ. 네트워크 특정 포트를 쓰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출력 리눅스에서는 fuser -vn tcp 8080 이런식으로 많이 썼는데 맥에서는 lsof가 있었다! sudo lsof -i :8080 Network Interface 보기 scutil --nwi Public IP 출력 이건 다른 컴퓨터에서도 자주 쓰는 방법이긴 하다. DNS를 이용해서 빠르게 가져오는 법 참고 # open dns dig +short myip.opendns.com @resolver1.opendns.com # google dns dig @ns1.google.com TXT o-o.myadd..
Mac에서 code 명령어가 작동 안 할 때 해결법
Mac에서 code 명령어가 작동 안 할 때 해결법
2022.06.26터미널에서 "code {디렉터리명}"을 쓰면 그 디렉터리를 작업공간으로 열어준다. 종종 Visual Studio Code를 잘 깔아서 code명령어로 잘 쓰고 있는데 갑자기 code 명령어가 안 먹을 때가 있다. 그때의 해결법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발생한 오류는 다음과 같다. $ code . zsh: command not found: code Visual Studio Code 깔려있는데 왜 안돼? 이럴 때마다 code 명령어가 일상이 된 사용자로서 매우 답답하다. command not found: code 해결법 1.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한다. 2. Command Palatte를 연다. (단축키: CMD + SHIFT + P) 3. Palette에서 "shell command" 입력 ..
M1에서 Rosetta로 Node 사용하기
M1에서 Rosetta로 Node 사용하기
2022.06.22인텔에서 잘 되는게 M1에서 돌리니 갑자기 에러를 뿜으면서 동작 안했습니다. 이럴 때는 rosetta를 이용해서 Intel로 돌리면 됩니다. 제가 Node 14를 사용하고 싶은데 Node 14버전은 M1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럴 때 쓸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한번 터미널을 rosetta를 사용해서 arm64가 아닌 intel로 아키텍처로 쉘을 실행해서 Node 14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애플 실리콘(M1) 맥 nvm 만약에 nvm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먼저 깔아주세요! (brew install nvm) (iTerm) 굳이 iTerm이 아니더라도 상관없긴 합니다! 다른 터미널 앱에서 똑같이 해도 됩니당. Rosetta로 Node 실행하는 법 1. 현재 쉘의 아키텍처 확인하기 아래의 명령어는 현재 기..
Mac에서 명령어로 Win11 부팅 USB 만들기
Mac에서 명령어로 Win11 부팅 USB 만들기
2022.06.09방금 따끈따끈한 Gram이 도착했다. 하지만 윈도가 아닌 프리도스가 깔린 깡통.. 윈도면 금방 부팅 USB를 만들겠지만 당장 가지고 있는 것은 맥북밖에 없다ㅠ. 찾아보니 참고할 해외 글이 많아서 어렵지는 않았다. 맥북에서 Booting USB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공유해본다. 준비물 Win11 ISO 파일 (다운로드 링크) USB (8GB 이상) MacOS, brew 텅 빈(프리도스) 노트북 Windows11은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여기)에서 한국어판으로 하나 다운받았다. USB가 없어서 편의점에서 가서 제일 싼 SanDisk 16GB짜리를 하나 샀다. 15,000원 정도했다.(그래도 비싸넹 ㅠ). 주의 저도 뭘 알고 한 것이 아니라 이것 저것 찾아보면서 한 것입니다. 이거 따라 하다가 잘못되시면 책임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