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서평] 실무로 통하는 웹 API
[서평] 실무로 통하는 웹 API
2025.09.28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그동안 Web에서 제공해주는 API는 크게 신경 쓰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필요한 도메인에 관한 API를 쭉 둘러보고 필요한 걸 잘 써먹을 수 있을 정도만 봤었던 기억이 많습니다.생각해보면 개발하면서 브라우저는 계속 업데이트되고 비디오, 파일처리, 오디오, 애니메이션, 음성 인식 같은건 어디까지 지원되고 어떤 걸 써야 성능 좋게 나오는지 궁금했던 적도 많았습니다.이런걸 알기 좋은 책입니다.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HTML5와 다양한 Native Web API들을 체계적으로 짚어주는 책입니다. 브라우저가 이미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놓치기 쉬운 기능들을 다시금 발견하게 해주고 간단한 예제로 실제 프로젝트에 어떻게 녹여낼 수 있을..
제 나름의 커밋을 남겨봅니다
제 나름의 커밋을 남겨봅니다
2025.09.13의미있는 변화가 있으면 바로바로 커밋을 해야 하는데 너무 많이 쌓여버렸네요.tldr;git commit -am "취업! 다오랩 수료! 오픈소스! 졸업! 이사! 파이콘! 애자일!"1. 취업이커머스 스타트업으로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Agent로 이것 저것 시도하다가 (생략) 지금은 앱테크쪽으로 2. 다오랩한 줄기 빛... 평소에 관심이 많았던 미래 조직, 거버넌스, AI로 변화하는 사회를 연구해볼 수 있는 곳으로 왔습니다.랩 자체가 자율적으로 돌아가고 실험인 곳입니다.결혼 정보 비대칭 관련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극 I라서 나서는 건 못하지만 저도 기여할 부분이 많고 성장하기 좋은 기회라 생각해서 다음 기수 셰르파(새로운 기수 온보딩 도와주는 역할)로 지원!3. 오픈소스 - SQLAlchemy김인제님의 오픈..
[서평]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서평]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2025.08.31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실무에서 DB 마이그레이션을 포함해서 코드를 어떻게 안전하게 배포할지 늘 고민하고 있다. 모든 것을 자동화하기에는 비용도 많이 들고 DB Migration이 잘못되면 어떻게 하지? 별도로 클라우드나 K8S를 안 쓰는 서버는 Rollback은 어떻게 할 수 있지? 등 여러 고민이 있다.목차를 펼치자 마자 사로잡힌 문구인데 다음과 같은 표현이 기억이 난다.XP: 힘들수록 더 자주해라배포를 자주 할수록 리스크가 작아지고 자동화를 더 잘하게 되고 테스트가 보완된다는 말이다.최근 팀을 옮기고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 중인데 시간이 부족해서 반수동으로 테스트, 스테이지 테스트, 릴리즈를 하고 있다. 몇 주 동안 팀에 적응하며 어떻게 테스트, QA환경 ..
[서평] 개발자를 위한 IT 영어 온보딩 가이드
[서평] 개발자를 위한 IT 영어 온보딩 가이드
2025.07.27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개발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영어를 다룬 실용적인 책최근에 외국인 인턴분이 들어오셨는데 제 업무를 어떻게 소개하면 좋을지 막막했습니다. "난 서버 개발자다" 그 이상을 말씀드리기가 참 애매하더라고요. 오늘 하고 있는 업무를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며 핑퐁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았는데 책을 보면서 개발하며 주로 하는 업무들을 영어로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개발에 특화되어 영어를 공략해준다는 점이 정말 특별했던 것 같습니다. 주로 코드 리뷰, 이슈 작성, 기술 문서 작성처럼 실제 개발 하면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영어로 실제 사례와 함께 익힐 수 있습니다.특히 저자분의 경험이 녹아들어있어서 더 유익했습니다. 국..
요즘 요긴하게 쓰고 있는 툴 uv
요즘 요긴하게 쓰고 있는 툴 uv
2025.07.26uv sync
[서평] 김길성의 네트워크 딥다이브
[서평] 김길성의 네트워크 딥다이브
2025.06.29"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네트워크처럼 방대한 분야를 공부하다 보면 각 개념의 연결 고리를 놓쳐 학습의 방향을 잃기 쉽습니다. 저도 처음에 레이어 별로 구체적으로 볼줄도 알아야 하고 다시 한 발자국 떨어져서 추상적으로 볼 줄도 알아야 했는데 이게 참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각 장마다 학습 로드맵을 그래프로 시각화해준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목차보다 그래프로 그려두니 여러 개념관의 연관 관계를 볼 수 있어서 훨씬 더 직관적이고 읽고 나서도 어떤 내용이 있었는지 상기 시킬겸 보기 좋았습니다.시간이 좀 지났지만 대학 시절에 네트워크를 Physical Layer부터 상위로 배우는 상향식(Bottom-up)과 Application Layer부터 하..
좋은 회고
좋은 회고
2025.06.26회고 관련 온라인 이벤트를 참여하면서 듣고 느낀 것들을 정리하는 글입니다.이번 이벤트를 통해 좋은 회고에 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살면서 굉장히 여러번 회고를 했습니다. 그러면서 여러 회고법이나 관점을 접하게되었는데요. 좋은 회고가 되려면 어떤게 필요할까요?오늘 마지막에 회고 관한 q&a가 진행됐는데 공감되는 내용이 되게 많았습니다. 1. 회고를 하다보면 구체성이 떨어질 때가 많다생각해보면 저도 아 이런거 아쉽다, 이런거 좋았다, ㅇㅇㅇ 힘들다 등 이렇게 서로 얘기하다가 시간을 다 쓰고 회고가 끝난 적이 많았습니다. KPT, 4L같은 틀을 써도 방향 없이 이것저것 발산하다가 끝난 꽤 있습니다.이번 이벤트의 한 팀은 잘했던 순간의 구체적인 장면을 떠올리고 이걸 집중해서 회고를 했다고 합니다. ..
근황 공유
근황 공유
2025.06.19최근 3개월 간 저에게 많은 영향 준 활동들입니다.1. Essence of agility(EoA) 2.0 patch + 공유회 3~4번 - 애자일을 잘하려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2. 모두의 연구소 DAO Lab 수료 - DAO 거버넌스 공부 - 정보불균형 문제 - 스드메 관련 인터뷰&워크샵 진행3. 오픈소스 기여 커뮤니티 운영진 - 운영보다는 응원 담당(?) - sqlalchemy 기여: returning 절의 버그 수정 (PR 검토중)4. 파이썬 사용자 모임 (커피챗)
[서평] LLM 서비스 설계와 최적화
[서평] LLM 서비스 설계와 최적화
2025.05.30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LLM이 급부상하며 다니는 회사에서도 적극적으로 업무에 녹일 수 없을지 검토하고 있다. 여러 가지를 테스트하고 비교하며 신경 쓰는 것은 크게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LLM의 정말 그럴 듯한 할루시네이션이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도 한계가 있고 이것을 어떻게 인지할 수 있을지도 큰 문제이다. 정확한 정의 없이 도입하는 것이다. 사실 웬만한 작업은 그럴듯한 결과를 내놓는다. 잘 사용한다면 그 이상의 인사이트를 주기도 한다. 하지만 뚜렷한 목표가 없이 일단 도입하자니 역할도 모호하고 업데이트 방향도 잡을 수 없을 것 같았다. 결국 좋은 평가도 불가능해지고 좋은 피드백을 받지 못하면 실질적인 가치를 잃어버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LLM이 여러..
[iterm2] 업데이트 후 터미널 클릭 시 명령어 영역이 선택되는 기능 끄는 법 (Command Selection)
[iterm2] 업데이트 후 터미널 클릭 시 명령어 영역이 선택되는 기능 끄는 법 (Command Selection)
2025.04.27iterm이 3.5 버전부터 터미널을 클릭하면 해당 Block이 선택이 되는 기능이 추가됐습니다.Command Selection이라는 기능인데 클릭해서 선택된 Block 내에서만 Find, Filter 등의 기능이 먹게 됩니다.유용한 기능이지만 클릭할 때마다 화면의 일부분이 선택되니 적응이 안 됐습니다.전 필요한 부분을 찾고 싶으면 grep을 많이 활용합니다. 그래서 iterm 검색이나 필터 기능을 사용을 거의 안 하기도 했습니다.적응이 너무 안 돼서 끄고 싶었는데 저처럼 끄고 싶으실 분이 계실 것 같아서 공유합니다.Command Selection 기능 끄는 법"Settings > General > Selection 탭"에서 Command Selection 기능을 비활성화하시면 됩니다.
[서평] 플랫폼 엔지니어링
[서평] 플랫폼 엔지니어링
2025.04.25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데브옵스 다음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하며 본 책이 책은 플랫폼 엔지니어링의 본질과 실제 조직에서는 어떻게 역할을 가져가야 되는지 설명해줍니다. 이런 플랫폼 엔지니어링을 하려면 리더들은 어떤 것을 꼭 알고 행동해야 하는지 조언도 담고 있었습니다.플랫폼팀이 내부 고객인 개발자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고민과 결정을 해야 하는지 실제 사례와 함께 다루는 부분에서 플랫폼을 제품처럼 접근하는 전략이 어떤 것인지 알게된 계기가 됐습니다. 제가 속한 개발 조직은 그리 크지 않아서 사실 플랫폼 엔지니어링은 좀 멀게 느껴지고 실질적인 액션을 뽑아낼 수 없을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가볍게 흥미 위주로 읽기 시작했는데 3챕터의 "작은 스타트업에..
[서평] 자바 코드의 품질을 높이는 100가지 방법
[서평] 자바 코드의 품질을 높이는 100가지 방법
2025.03.28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자바를 하며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을 폭 넓게 다루는 책저는 최근 자바로 자주 코딩했습니다. 오랜만이라 나름 찾아보며 조심하게 짜도 실수들은 나왔습니다. 이 책은 그런 부분을 넓게 다루고 숫자 처리, 객체 비교처럼 사소하지만 중요한 디테일부터 프로그램 구조나 단위 테스트 같은 주제까지 폭넓게 다룹니다. 책의 특징정적 분석 도구를 강조하면서 실제 책에서도 "정적 분석" 정보를 거의 모든 부분마다 제시합니다. 이렇게 보여주면서도 정적 분석 도구의 한계와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실전 팁 달아주는데 실제 코딩할 때도 자주 떠오르네요.전 인텔리제이에서 날리는 경고를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어서 도움됐습니다. 예방법까지! 그때 그때 뜰 때마다 문서를 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