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Kraken으로 Git 입문하기
"GitKraken으로 Git 입문하기"라는 주제로 게임제작동아리인 CIEN에서 Git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Git은 써봤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Git으로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은 분 몇 분 대상으로 해봤습니다.
이번 특강은 천천히 진도를 나가면서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 Git을 사용하면서 의문이 든 점
- 카톡 공유에 비해 더 나은 점이 무엇인지?
- 프로젝트를 날린 경험
- Conflict는 언제 일어나는지?
- 왜 파일이 사라지는지
- gitignore는 무엇인지?
- 정규식은 무엇인지?
- 유니티로 작업할 때 Scene이 계속 충돌나는 경우
- 등
이렇게 구두로 서로 어려웠거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git 협업에 실패한 경험 등을 공유하면서 많은 얘기가 오갔습니다.
예전(2019년도)에는 Source Tree로 입문 강의를 많이 진행했었습니다.
당시에 사용한 소스트리 Git 입문 자료: https://coding-groot.tistory.com/135
그런데 그때 제 강의 들은 분들이랑 다른 프로그래밍하는 회원분들이 IDE 내장 Git이나 GitKraken을 주로 쓰게 된다고 하셔서 이번은 크라켄으로 진행해 보았습니다.
Git 사용법과 함께 유니티로 협업할 때 Git 사용 시 주의할 점도 짤막하지만 Tip으로 넣어봤습니다.
- Scene은 여러 명이 건드리지 말자!
- metadata를 날리지 말자!
강의를 하다가 폭주해서 .git 안의 파일 내용물을 고쳐가며 원리도 시현했습니다.
(다들 C언어를 하셨길래) "HEAD는 사실 더블 포인터다" 같은 표현도 나왔습니다.
마지막까지 남아계신 분들이랑은 GitHub에서 같이 PR을 날려보기도 해봤습니다.
-> https://github.com/CIEN-Club/workshop-guestbook
크라켄으로 입문하는 Git 자료는 잘 안 보여서 회사 다니면서 짬짬이 시간을 내어서 만들었습니다.
입문을 위한 간단한 Git 내용 위주입니다.
특강 때 사용한 키노트 공유합니다~!
혹시 키노트 파일 필요하신 분은 댓글 주세용!
사용한 슬라이드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음 슬라이드로 넘어갑니다. / 왼쪽 사이드에 마우스 옮기면 사이드바로도 슬라이드를 볼 수 있어요!)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Git/GitHub] 기초적인 소스트리 사용법 정리
[Git/GitHub] 기초적인 소스트리 사용법 정리
2021.01.05 -
Source Tree 튜토리얼 3 :: 파일의 상태와 Stage Area
Source Tree 튜토리얼 3 :: 파일의 상태와 Stage Area
2020.04.10 -
Source Tree 튜토리얼 2 :: Git 저장소 선언
Source Tree 튜토리얼 2 :: Git 저장소 선언
2020.04.10 -
Source Tree 튜토리얼 1 :: Git에서 주로 쓰게 될 용어와 기능들
Source Tree 튜토리얼 1 :: Git에서 주로 쓰게 될 용어와 기능들
2020.04.10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