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Protocol 비교 :: POP3, IMAP, SMTP
이메일 Protocol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POP3, IMAP, SMTP를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3가지 Protocol을 소개해보겠다.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는 Protocol로 POP3
또는 IMAP
를 쓰고 이메일을 보내는 Protocol로 SMTP
가 쓰인다.
먼저 이메일을 가져오는 Protocol들에 대해 알아보자.
Email 가져오기 - POP3, IMAP
흔히 이메일을 다른 곳에서 받아와서 보기 위한 방법으로 POP3 또는 IMAP 두 가지의 선택지를 준다. 그런데 지메일 설정에서는 POP3 Protocol은 "POP 다운로드"
, IMAP Protocol은 "IMAP 액세스"
라고 표기했다. 둘 다 똑같이 내 이메일을 다른 기기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데 왜 이렇게 미묘하게 다른 말로 표현했는지 알아보자.
1. POP3 Protocol - 내 이메일을 다운로드하는 프로토콜
POP3 = "Post Office Protocol 버전3"
원격 서버로부터 내 로컬(컴퓨터/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이메일을 다운로드한다.
내 서버 메일 보관함에 있는 메일을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하고 그 (다운로드된) 메일은 서버에서 삭제한다.
주의할 점
- 여러 기기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것은 삭제한다. 그래서
A 컴퓨터
에서 먼저 POP3로 메일을 다운로드한 후,B 컴퓨터
에서는 POP3로 메일을 다운로드해 보려고 하면A 컴퓨터
에서 먼저 다운로드한 메일들은 삭제되고 없다. 여러 기기에서 POP3로 메일을 보려면 이 것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 메일의 원문 전체를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편한 점
- 오프라인에서 메일을 볼 수 있다. IMAP과 달리 POP3는 모두 다운받기 때문에 오프라인 상태에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POP3를 통해 내 메일을 다운로드할 때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다운로드한 후를 말하는 것이다.)
- 서버의 부담이 덜하다. 한 기기에 다운로드된 메일은 삭제하기 때문에 서버의 공간 소모가 적다.
2. IMAP Protocol - 내 이메일을 접근하는 프로토콜
IMAP =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원격 서버로부터 내 로컬(컴퓨터/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이메일을 접근한다.
내 서버 이메일 보관함에 있는 메일을 내 컴퓨터에서 접근하고 그 메일은 캐시(Cache)한다.
POP3와 다르게 다운로드가 아니라 접근을 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동기화가 된다. A 컴퓨터
에서 IMAP으로 보는 메일함이랑 B 컴퓨터
에서 IMAP으로 보는 메일함이 항상 동일하다는 말이다.
주의할 점
- 인터넷 연결이 항상 필요하다. 다운로드하지 않고 접근하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Cache는 해주기 때문에 봤던 메일은 또 볼 수 있을 것이다. 찾아보니 요즘은 POP3처럼 다운로드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고 한다.
편한 점
- 여러 기기에서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 그래서 나도 이메일을 IMAP 방식으로 모든 기기에 연동했다.
- 동기화 - 내가 스마트 폰에서 읽거나 삭제해도 컴퓨터로 열어서 보면 그것이 반영되어있다.
Email 보내기 - SMTP
SMTP - 간단한 텍스트로만 구성된 이메일을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 너머로 간단한 텍스트 메일을 보낸다.
주의할 점
- Text만 보낸다. 폰트나 첨부 파일 같은 것들은 못 보낸다. 그래서 보내려면 텍스트가 아닌 것들을 Text로 변환해서 보내야 한다. 그런 것을 위해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같은 것이 있다.
요약
이메일을 보기 위한 프로토콜: POP3, IMAP
POP3
- 이메일 다운로드 후 삭제
- 기기가 하나일 때!
IMAP
- 이메일에 접근
- 모든 기기가 동기화
- 기기 여러 개 가능!
이메일을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 SMTP
SMTP
- Text로 구성된 이메일 보내기!
- Text 아닌 것들은 Text로 변환할 것
출처
- Icons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리눅스에서 호스팅 중인 서비스가 외부로부터 접속이 안 될 때 문제 확인 방법
리눅스에서 호스팅 중인 서비스가 외부로부터 접속이 안 될 때 문제 확인 방법
2022.11.04 -
DigitalOcean으로 네트워크 실습용 서버 만들기
DigitalOcean으로 네트워크 실습용 서버 만들기
2020.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