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Source Tree 튜토리얼 3 :: 파일의 상태와 Stage Area
Source Tree 튜토리얼 3 :: 파일의 상태와 Stage Area
2020.04.10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의 상태 확인하기 파일 상태창 내 파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창 우리가 자주 사용할 창이다. 우리는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다른 여러 가지 작업을 하면서 이 저장소에 파일을 넣고 빼고 수정을 가한다. 그때마다 우리의 파일들이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창이다. 이 창에서 우리는 변경한 파일을 선택해서 기록(commit)할 수 있다. Git은 파일을 어떻게 분류할까? Tracking Git이 파일의 변동 사항을 알려주며 파일을 추적하는 상태이다. 추적 중인 파일은 다시 3가지(기록할 파일이다, 안변했다, 변했다)의 상태로 구별해서 우리에게 파일의 상태를 알려준다. Untracking Git이 신경 쓰지 않는 파일 상태이다. 처음에 새로운 파일을 넣었을 떄 그 파일은 Untrack..
Source Tree 튜토리얼 2 :: Git 저장소 선언
Source Tree 튜토리얼 2 :: Git 저장소 선언
2020.04.10Source Tree Git으로 버전 관리를 GUI(그래픽을 클릭하는 인터페이스)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버전 관리의 첫 단계 - 저장소 선언 Git을 사용해서 파일 버전 관리를 하려고 한다면 먼저 관리하고자 하는 폴더를 git 저장소로 선언해야 한다. 소스 트리로 저장소를 선언해보자. 상단의 Create 탭을 누르면 git 저장소를 만드는 창이 나온다. 목적지 경로: 어떤 폴더를 git으로 관리할지 설정 이름: 저장소 명 설정 두 가지 설정을 해준 뒤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소로 선언이 된다. 저장소로 선언이 되면 .git 폴더가 생긴다 .git 폴더는 숨김 폴더이기 때문에 허용을 해줘야지 보인다. (탐색기의 상단에 보기 탭 > 숨긴 항목 체크) 내가 저장소로 잘 설정했는지 보기 위해서 .git 숨..
Source Tree 튜토리얼 1 :: Git에서 주로 쓰게 될 용어와 기능들
Source Tree 튜토리얼 1 :: Git에서 주로 쓰게 될 용어와 기능들
2020.04.10Git의 용어 Git의 다루기 위해 알아야 할 기본적인 용어를 정리해보자 저장소(Repository): 내가 Git으로 관리할 대상 모여있는 곳, 간단하게 관리 대상인 폴더 커밋(Commit): Git에서 버전을 기록하는 단위, 간단하게 하나의 버전 = Commit 커밋한다 = Git에 하나의 버전을 기록한다 로컬(Local) - 네트워크 없이 접속 가능한 것 로컬 컴퓨터 = 내 컴퓨터 원격(Remote) - 네트워크 접속해서 접속해야 하는 것 클라우드(Google Drive같은 것) 원격 저장소 = 웹 서버에 올린 Git 저장소 원격 저장소를 올리게 해주는 사이트: GitHub, Bitbucket Source Tree를 사용해서 주로 쓰게 될 Git의 기능들 저장소 선언 = 관리를 시작하겠다고 알리는 ..
Fork한 저장소에 upstream의 최신 commit 가져오기 :: GitHub Compare / Bitbucket / add remote
Fork한 저장소에 upstream의 최신 commit 가져오기 :: GitHub Compare / Bitbucket / add remote
2020.04.09내가 Fork한 후에 올라온 upstream의 commit 가져오기/동기화하기 upstream이란? Fork의 대상이었던 원래의 저장소. 방법 1: GitHub Compare 기능 GitHub에서 (upstream을 Fork한 내 저장소
Source Tree 튜토리얼 0 :: 카테고리 소개
Source Tree 튜토리얼 0 :: 카테고리 소개
2020.04.09Source Tree 카테고리 소개 명령어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Source Tree로 버전관리하는 법을 올려보려고 합니다. Git 초심자를 위해서 기초적인 파일상태 보기, 커밋, 푸시, 풀부터 시작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해결법까지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올라오는 글의 순서 Source Tree 카테고리의 글은 주로 쓸 기능들부터 시작해서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할 기능 순으로 올릴 예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작하기 앞서 먼저 제가 올린 아래의 글을 참고해서 Source Tree를 설치해주세요. 2020/04/09 - [Git/Source Tree] - Source Tree 설치하는 법 + 사라진 Source Tree 찾기
Git의 파일 상태 구분법
Git의 파일 상태 구분법
2020.04.09Tracking Git이 파일의 변동 사항을 알려주며 파일을 추적하는 상태이다. 추적 중인 파일은 다시 3가지의 상태로 구별해서 우리에게 파일의 상태를 알려준다 Untracking Git이 신경 쓰지 않는 파일 상태이다. 처음에 새로운 파일을 넣었을 떄 그 파일은 Untrakcing 상태이다. git add [파일명] 명령어로 파일을 Track할 수 있다.
Source Tree 설치하는 법 + 사라진 Source Tree 찾기
Source Tree 설치하는 법 + 사라진 Source Tree 찾기
2020.04.09Source Tree를 설치하는 법과 설치하다가 막혔을 때의 해결법 1. Source Tree 홈페이지 접속 후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을 실행 Source Tree 홈페이지: https://www.sourcetreeapp.com/ 2. Bitbucket 가입 Source Tree를 사용하려면 Bitbucket에 가입해야 합니다. 가입해줍시다. 3. 로그인 Bitbucket에 로그인하라는 인터넷 창이 열릴겁니다. 이 창이 자동으로 열리지 않으면 설치 프로그램 끄고 다시 시도해보세요. 방금 가입한 아이디로 로그인해줍시다. (이미 로그인되어 있다면 Skip) 4. Grant Access 로그인했다면 아래의 웹 페이지로 이동할겁니다. 이 과정에서 무한 로딩 버그에 걸려서 못 빠져나오곤 합니다... 해결법은 껐다 ..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구현하기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구현하기
2020.04.09* 2020/04/09 - [Programming/Compiler] -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동작하는 방식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Lexical Analyzer를 구현해보자 무엇을 구현해야 할까? Lexical Analyzer는 input을 읽고 토큰으로 분류를 해서 Symbol Table을 만들어야 합니다. Token들의 Pattern 그 Pattern들을 인식하는 코드 Symbol Table 1. Token들의 Pattern은 어떻게 정의할까? 정규식(Regular Expression)을 사용하면 편합니다. 특정 문자열의 패턴을 간결하면서 정확하게 표현을 하게 해주는 좋은 도구입니다. 비교를 해봅시다. 식별자 Token의 Pattern을 글로 표현한 경우 식별..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동작하는 방식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동작하는 방식
2020.04.09* 2019/07/30 - [Programming/Compiler] - [Compiler] 1. Lexical Analyzer :: 소개와 용어 정리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지난번 글에서 말했던 개념을 빠르게 복습해봅시다 더보기 Token: (Token Name, 어떤 문자들을 대표하는 Symbol)와 (Token Value, 토큰의 구체적인 속성)의 쌍 (ex) "산술연산자(+, -, *, /, %)", "반복문(for, while)" Lexeme: 토큰들의 구체적인 예 (ex) "+" -> 산술연산자라는 토큰의 구체적인 예 Lexical Analyzer(Scanner)의 동작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Lexical Analyzer는 input으로 준 문자열을 읽어서 각각의 단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 단어..
[Quick Fix] WSL Powerline9k Theme 깨짐/이상하게 보이는 오류 해결법 :: Overflowing rPrompt on WSL
[Quick Fix] WSL Powerline9k Theme 깨짐/이상하게 보이는 오류 해결법 :: Overflowing rPrompt on WSL
2020.03.23WSL에서 Powerline9k나 Powerline10k 테마로 이쁘게 꾸며서 사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창이 넘쳐흐르는 에러가 발생했고 그냥 나두기에는 너무 거슬렸다. 이 오류 말고도 아이콘 잘림 또는 깨짐, 오버플로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오류들은 전부 Double-Width Glyph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원인 - Double-Width Glyph Double-Width Glyph: Monospace 폰트와 달리 두 개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자 Ex) , ,... (아마 폰트에서 지원되지 않아서 안보일 수도 있다. 사진으로 바로 아래에 올렸으니 어떤 문자인지 확인해보자.) 문제를 일으키는 2칸 문자들의 예 Mac(iterm2)이나 다른 OS의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는 잘 동작하..
Email Protocol 비교 :: POP3, IMAP, SMTP
Email Protocol 비교 :: POP3, IMAP, SMTP
2020.03.21이메일 Protocol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POP3, IMAP, SMTP를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3가지 Protocol을 소개해보겠다.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가져오는 Protocol로 POP3 또는 IMAP를 쓰고 이메일을 보내는 Protocol로 SMTP가 쓰인다. 먼저 이메일을 가져오는 Protocol들에 대해 알아보자. Email 가져오기 - POP3, IMAP 흔히 이메일을 다른 곳에서 받아와서 보기 위한 방법으로 POP3 또는 IMAP 두 가지의 선택지를 준다. 그런데 지메일 설정에서는 POP3 Protocol은 "POP 다운로드", IMAP Protocol은 "IMAP 액세스"라고 표기했다. 둘 다 똑같이 내 이메일을 다른 기기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이데 왜 이렇게 미묘하게 다른 말..
Git Internals 정리 :: Git은 어떻게 동작할까?
Git Internals 정리 :: Git은 어떻게 동작할까?
2020.03.16Git의 내부 동작 방식Git은 복잡하고 처음에는 매뉴얼만으로 이해하긴 어려웠다...그리고 가끔씩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는 경고문을 보여주곤 한다...나도 처음에 막 건들다가 아래와 같은 경고문을 보게 되면 정말 당황한 적이 있다. Detached Head?? Linked List의 헤드인가...? 왜 Head가 분리됐지...?Git의 문서를 보면 아직 이해가 안 되거나 아주 중요한 내용인지 모르고 그냥 읽고 넘어가버릴 때가 많다... 매뉴얼은 이해하기 어렵고 Git의 주의점까지 다 외워야 할까? ㅠㅠ나는 Pro Git의 마지막 장인 Git Internals(Git 내부 동작)를 읽으며 모든 막막함이 자연스럽게 해결되었다.[참고] Pro Git이란?Git의 교과서이다. 정리가 상세하게 되어있어서 웬만한 건..